풍류한마당

국립무형유산원

은율탈춤

사진이 없을경우 대체 이미지가 나옵니다.
일정 2023-05-27 ~ 2023-05-27
시간 14:00
장소 은율탈춤전수관 수봉민속놀이마당
주관 국립무형유산원
문의 032-875-9953
대상
정원수

일시 : 2023-05-27 ~ 2023-05-27

장소 : 은율탈춤전수관 수봉민속놀이마당

문의 : 032-875-9953

탈춤이란 한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가면으로 얼굴이나 머리 전체를 가리고 다른 인물, 동물 또는 초자연적 존재(신) 등으로 분장하여 음악에 맞추어 춤과 대사로써 연극하는 것을 말한다. 탈춤은 조선전기까지 각 지방에서 행해지던 가면놀이이다. 17세기 중엽에 이르러 궁중의 관장하에 "산대"라 불리는 무대에서 상연된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형태로, 조선 인종 12년(1634)에 궁중에서 상연이 폐지되자 민중에게 유입되어 전국으로 전파되었다.

 

은율탈춤은 단오에 2~3일 동안 행해지고 그 밖에 석가탄신일과 7월 백중놀이로도 행해진다. 약 200~300년 전에 난리를 피하기 위하여 섬으로 갔던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올 때 얼굴을 내놓기가 부끄러워 탈을 쓴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은율탈춤은 제1과장(사자춤), 제2과장(상좌춤), 제3과장(팔목중춤), 제4과장(양반춤), 제5과장(노승춤), 제6과장(미얄할미. 영감춤)의 6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은율탈춤 놀이에 앞서 숲에 모여 탈에 제사를 지내고 공연장소까지 탈과 의상을 갖추고 행렬하는 길놀이를 한다. 상좌·목중·말뚝이·맏양반·둘째양반·새맥시·셋째양반·원숭이·노승·최괄이·영감·할미·무당·사자·최괄이 아들 등 24명의 인물이 등장하며 파계승에 대한 풍자, 양반에 대한 모욕, 일부처첩(一夫妻妾)의 삼각관계와 서민생활상을 보여준다. 다른 탈춤에 비해 호색적인 표현이 심하며, 파계승보다 양반을 모욕하는 대목을 강조하고 있다. 팔목중춤 다음으로 양반춤이 나오는 것은 강령탈춤과 은율탈춤 뿐이다. 

 

은율탈춤은 황해도 탈춤에서 나누어진 봉산탈춤과 해주탈춤의 상호교류와 영향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연관정보